2015년 10월 16일 금요일

일련의 타버린 저항으로 인한 회로 불능 사례들

먼저, Falling Number 1600이라는 모델이 동작하지 않아서 보드를 점검해 보았다. 가장 눈에 띄는 문제점이 히터는 동작하는데 그 이외는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선 옛날 회로이다 보니 마이컴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들이 트렌지스터와 다이오드 혹은 두 개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결합되어 중간에 탭이 있는 유사 트렌지스터로 구성된 거미줄 같은 로직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은 되도록이면 건드리지 않으려고 전원, 릴레이,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그리고 클럭순으로 점검하였다.

전원은 트렌스포머에서 오는 전압을 제대로 7812가 DC로 변환하고 있었고, 릴레이도 직접 전압을 인가해 본 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7 세그먼트도 마찬가지로 직접 전압을 걸어본 결과 모두 불빛이 들어 오고 있었다. 클럭을 점검하는데서 부터 회로를 역추적해야 하는 상황이 시작되었지만, 1초 주기의 클럭 생성하는 부분이 14655라는 CMOS 시리즈가 담당하고 있어서 그리 어렵지 않았다. 클럭 생성은 트렌스포머에서 전달되는 60Hz의 전원을 RC회로로 약간 가공하고 이 60Hz를 14655이 1초로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결론적으로 로직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정상 작동하고 있었다.

이제 남은 부분인 로직 부분을 건드려야 하는 상황이라서 어쩔 수 없이 모든 회로를 역 추척하여 도면을 만드는 작업을 해야 했다. 나도 트렌지스터는 실험 수업때나 사용하거나 인버터가 하나 필요한데 칩을 쓰기에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나 사용해 본 경험이 전부이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았다. 아무튼, 모르는 부품은 검색을 통하여 이해하고 안보이는 패턴은 멀티미터로 연결 부위를 역추척했다. 이 작업은 첨하는 작업이어서 애로사항이 많았는데 좀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기판과 동일한 배치를 갖도록 도면의 각 부품을 배치하고 일일이 찍어 가면 연결하는 것이다. 어줍짢게 로직대로 재배치 해가며 회로를 역추적했다간 내가 어디까지 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동일한 작업을 계속 되풀이 하고 있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아무튼 좋은 경험이 었다. 하긴 요즘은 가운데 듬직한 CPU가 떡하니 박혀있기 때문에 회로를 역추적하는 작업이 어렵지 않다.

이와 같이 회로도 다 역추적하였다. 이제는 동작하지 지점에서 시작하여 회로를 따라가며 점검하면 문제가 되는 지점을 찾아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요즘 휴대용 진공관 헤드폰 앰프를 제작했는데 전원으로 쓸 아답타 수급에 문제를 격고 있다. 그냥 12V를 쓰는 회로로 구성했으면 문제가 없는데 휴대용으로 만들다 보니 배터리에서 오는 14.8v의 전압을 11.6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회로 박아 넣었다. 그래서 아답터를 사용할 때는 최소 14.6V 이상의 500mA의 용량을 가지고 있는 아답터가 필요했다. 이런 아답터는 쉽게 구할 수 없다. 그래서 구석에 짱박혀 있는 안쓰는 알텍렌싱 스피커 아답터, HP 프린터 아답터등을 찾아 내었다. 이와 같이 구해진 두개의 아답터는 15V에 1A의 용량으로 내 요구에 딱 들어 맞았다. 하지만, 출력 전압이 안나온다. 그래서 뜯어 보았다. 하나를 뜯어 본 결과 트렌스포머에서 바로 RC회로로 넘거가는 부분의 저항이 노리끼리하게 변해 있었다. 탄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